Recent Posts
Recent Comments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"파이팅짱"의 경제독립 프로젝트

📈 주식 기초 4편 - 주요 지표 읽는 법(PER, PBR, ROE) 본문

금융 기초 공부하기

📈 주식 기초 4편 - 주요 지표 읽는 법(PER, PBR, ROE)

fightingjjang (파이팅짱) 2025. 5. 1. 18:33

주식을 고를 때 가장 자주 듣는 말,

“PER이 낮다”, “PBR이 높다”, “ROE가 좋아요!”

근데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?

이번 편에서는 초보자도 꼭 알아야 할

PER, PBR, ROE의 의미와 차이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1. 주식의 ‘가치’를 숫자로 보는 방법

  • 주가만 보면 기업이 비싼지, 싼지 알기 어렵습니다.
  • 그래서 기업의 이익과 자산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지표가 등장합니다.
  • 그 대표적인 지표가 바로 PER, PBR, ROE입니다.

✅ 2. PER – 주가수익비율

  • Price Earnings Ratio
  • 해석: 이 회사 주식을 살 때, 이익의 몇 배를 주고 사는가?

예) PER 10 → 그 기업의 연간 순이익의 10배 가격으로 주식을 사는 셈

낮을수록 저평가, 높을수록 고평가된 가능성

📌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고,

성장주나 인기 업종은 PER이 높게 형성되기도 합니다.


✅ 3. PBR – 주가순자산비율

  • Price Book-value Ratio
  • 해석: 회사의 자산 대비 몇 배 가격에 거래되는가?

예) PBR 1.5 → 순자산의 1.5배 가격에 거래 중

→ PBR 1보다 낮으면 청산가치보다 싼 주식으로 평가되기도 함

📌 자산 중심 산업(은행, 건설 등)에서 자주 참고하는 지표입니다.


✅ 4. ROE – 자기자본이익률

  • Return on Equity
  • 해석: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내는가?

예) ROE 15% → 내 돈 100원을 투자해 15원의 순이익을 낸 셈

→ 높을수록 경영 효율이 좋고, 성장성이 높다는 의미

📌 ROE는 PER과 함께 투자 판단의 핵심 지표로 자주 쓰입니다.


✅ 5. 요약 비교표

지표
기준
의미
PER
주가수익비율
이익
낮을수록 저평가 가능성
PBR
주가순자산비율
자산
1보다 낮으면 자산보다 싸다
ROE
자기자본이익률
수익성
높을수록 효율적인 경영

✅ 6. 실전에서는 어떻게 쓰일까?

  • PER이 낮고 ROE가 높은 기업은?
  • 저평가 + 수익성 좋은 종목일 가능성
  • PBR이 낮은데 실적도 부진?
  • ‘가치 함정(Value trap)’ 일 수도 있음

지표는 ‘판단의 도구’일 뿐, 무조건적인 기준이 아닙니다.

항상 업종 특성, 시장 상황, 성장 가능성과 함께 봐야 합니다.


👉 다음 편에서는

‘네이버금융 & 야후파이낸스를 활용한 실제 데이터 보는 법’을 소개할 예정입니다!


📌 전편 보기 (3편 – 주식시장 구조 이해)  
👉 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_K-T_KgyaxU


🎥 유튜브 영상으로 보기  
👉 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kPG1QJE3VU


📌 경제 독립을 향한 모든 여정, fightingjjang 블로그와 함께하세요!

매일 한 걸음씩, 실전 경험과 정보를 나누며 함께 성장합니다.

💬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이나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!

여러분의 생각도 정말 궁금합니다 😊

👉 유튜브 채널 https://bit.ly/fightingjjang_YT